총 101건 중 101건 출력
, 4/11 페이지
-
31
-
액중 전기선 폭발법을 이용한 Fe<sub>3</sub>O<sub>4</sub>/Fe/그래핀 나노복합체 분말의 제조 및 전기화학적 특성
-
김유영;
최지습;
이회진;
조권구;
경남과학기술대학교 기계공학과;
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& 그린에너지 융합연구소;
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& 그린에너지 융합연구소;
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& 그린에너지 융합연구소;
(한국분말야금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,
v.24,
2017,
pp.308-314)
-
32
-
도금선재의 전기선폭발을 이용한 Cu-Zn 합금 나노분말 제조
-
김원백;
박제신;
서창열;
이재천;
오용준;
문정일;
한국지질자원연구원;
한국지질자원연구원;
한국지질자원연구원;
한국지질자원연구원;
한밭대학교;
한밭대학교;
(한국분말재료학회지,
v.14,
2007,
pp.38-43)
-
33
-
전기선폭발법으로 제조한 나노 W(텅스텐) 분말의 환원처리 및 방전플라즈마소결에 의한 조밀화
-
김지순;
김철희;
박은주;
권영순;
김진천;
이성호;
정동익;
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;
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;
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;
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;
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;
국방과학연구소 기술연구본부;
국방과학연구소 기술연구본부;
(한국분말야금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,
v.13,
2006,
pp.269-277)
-
34
-
가스분무 Fe계 비정질 분말과 유체 내 전기선 폭발에 의한 나노 Cu 분말의 복합화와 방전플라즈마 소결
-
김진천;
구왕회;
유주식;
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;
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;
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;
(한국분말야금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,
v.15,
2008,
pp.285-291)
-
35
-
전기선폭발법으로 제조된 텅스텐 분말의 산소 조성이 방전플라즈마소결 거동에 미치는 영향
-
김철희;
이성;
김병기;
김지순;
덕산하이메탈;
국방과학연구소;
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;
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;
(한국분말야금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,
v.21,
2014,
pp.447-453)
-
36
-
전기선폭발법을 이용한 Sn-Pb 나노분말의 합성
-
권영순;
박상하;
김지순;
안용배;
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/기계부품 및 소재특성평가 연구센터;
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/기계부품 및 소재특성평가 연구센터;
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/기계부품 및 소재특성평가 연구센터;
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/기계부품 및 소재특성평가 연구센터;
(한국분말야금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강연 및 발표대회,
v.2003,
2003,
pp.35-35)
-
37
-
동도금한 은선재의 전기선폭발에 의해 제조한 Ag-Cu 분말
-
김원백;
박제신;
서창열;
한국지질자원연구원;
한국지질자원연구원;
한국지질자원연구원;
(한국분말재료학회지,
v.14,
2007,
pp.320-326)
-
38
-
전기선 폭발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유체의 특성평가
-
김창규;
이경자;
이창규;
한국원자력연구원;
한국원자력연구원;
한국원자력연구원;
(한국분말재료학회지,
v.17,
2010,
pp.270-275)
-
39
-
유체 내 전기선폭발법에 의한 은 나노입자 유체의 제조 및 특성
-
박은주;
김지순;
권영순;
김진천;
최혜선;
정용훈;
L. H. Bac;
울산대학교;
울산대학교;
울산대학교;
울산대학교;
울산대학교;
주솔고나노어드밴스;
울산대학교;
(한국분말재료학회지,
v.16,
2009,
pp.217-222)
-
40
-
전기선폭발법을 이용한 core/shell 구조 Ag/C 나노 입자의 제조 및 열처리조건에 따른 특성
-
전수형;
엄영랑;
이창규;
한국원자력연구원, 원자력재료연구부;
한국원자력연구원, 원자력재료연구부;
한국원자력연구원, 원자력재료연구부;
(한국분말야금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,
v.17,
2010,
pp.295-30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