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2건 중 182건 출력
, 4/19 페이지
-
31
-
1910년대 조선 왕실 의례에 대한 宮內省의 李王家 舊制 조사
-
이왕무;
경기대학교;
(한국학논총,
v.48,
2017,
pp.185-214)
-
32
-
조선음악, 조선음악가의 困難 - 梧堂 咸和鎭을 중심으로
-
정수진;
;
(韓國民俗學= The Korean folklore,
v.41,
2005,
pp.387-418)
-
33
-
일본 국회도서관 헌정자료실 및 공공문서관 소장 이왕가 관련 문서의 현황과 연구
-
이승엽;
佛敎大學;
(藏書閣,
v.0,
2014,
pp.80-106)
-
34.
- 20세기 이후 처용무의 전승 양상 연구
- 김꽃지
-
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국내박사,
xv, 291 p., 2024
-
35.
- 정조 이후의 제례악 악현 변천에 관한 고찰
- 한정원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96장, 2007
-
36
-
일제 강점기 李王職 연구 ― 조직 구성의 배경과 운영을 중심으로 ―
-
이왕무;
경기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21,
pp.153-186)
-
37.
- 처용무의 무용서사와 상상계 연구
- 최미연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i, 216 p., 2010
-
38
-
안확의 조선음악사 서술 범주와 특징
-
이정희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음악사학보,
v.0,
2023,
pp.171-203)
-
39
-
일제하 이왕직(李王職)의 직제와 인사
-
장신;
성균관대학교;
(藏書閣,
v.0,
2016,
pp.70-103)
-
40.
- 근대 통영지역 나전칠기 산업 연구
- 하훈
-
동의대학교, 국내박사,
ix, 253 p., 20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