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.
- 문학교육 텍스트로서의 이상(李箱) 문학 연구 : 고등학교 문학교과서를 중심으로
- 이보라
-
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63, 2017
-
32.
- 李箱의 <鳥瞰圖>論
- 이일령
-
檀國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50p., 1992
-
33
-
「오감도 시제4호」에 구현된 내부 진단의 전자기학적 원리
-
이태균;
임혁준;
이수정;
광주과학기술원;
광주과학기술원;
광주과학기술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24,
pp.241-272)
-
34.
- 김의헌의 '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오감도 시제 4호' 분석연구
- 김의헌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38장, 2019
-
35.
- 이상 시에 나타난 디자인적 사고에 대한 고찰
- 이고은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i, 175 p., 2016
-
36.
- 이상 시에 나타난 '거울' 모티프 연구
- 신승윤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67 p., 2019
-
37
-
비평가 발터 벤야민이 읽는 이상의 텍스트 실험(1) - 자기반영이론의 견지에서 ‘오감’한 「烏瞰圖 詩第一號」
-
장제형;
서강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14,
pp.153-183)
-
38.
- 이상(李箱) 문학의 역사철학적 연구
- 신형철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i, 127 p., 2012
-
39
-
이상 시의 공백으로서의 ‘거울’과 地圖的 글쓰기의 상상력
-
김예리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25,
2008,
pp.111-140)
-
40.
- 이상 <오감도> 연구 : '놀이'를 중심으로
- 이기인
-
성균관대학교, 국내석사,
68 p., 20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