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6건 중 96건 출력
, 4/10 페이지
-
31
-
조선 후기 지식인의 ‘중국 동국기사류(東國記事類) 서목’ 편찬 -이덕무(李德懋)․한치윤(韓致奫)․이규경(李圭景)의 경우를 중심으로-
-
김려화;
중국광동외어외무대학 남국상학원;
(국문학연구,
v.0,
2023,
pp.237-262)
-
32
-
『오주연문장전산고』 사전(祀典)의 건축 관련부분 해석과 연구
-
백소훈;
중국 청화대학;
(건축역사연구 :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=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,
v.21,
2012,
pp.45-52)
-
33
-
五洲(오주) 李圭景(이규경) 실학의 한 방향 -西勢(서세) 認識(인식)에서 국제통상론으로-
-
임영걸;
성균관대학교;
(漢文學報,
v.28,
2013,
pp.117-150)
-
34
-
“복지동천” 이념의 19세기적 전개와 우복동 설화의 성립
-
김용철;
한림대학교;
(한국전통문화연구,
v.0,
2023,
pp.277-310)
-
35
-
Compilation of the Chinese Dongkuk Gisa Book Lists by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-Focusing on Lee Deok-moo, Han Chi-yoon, and Lee Kyu-kyung-
-
Jin, Lihua;
;
(국문학연구,
v.48,
2023,
pp.237-262)
-
36
-
조선 후기 서양세력의 접근과 海洋觀의 변화
-
노대환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03,
2003,
pp.341-377)
-
37
-
전근대라는 이름의 덫에 물린 19세기 조선 과학의 역사성
-
문중양;
;
(韓國文化,
v.54,
2011,
pp.99-130)
-
38
-
『五洲衍文長箋散稿』 소재 의학정보에 대한 일고찰
-
박상영;
한국한의학연구원;
(한국의사학회지,
v.28,
2015,
pp.97-103)
-
39
-
독도·울릉도 ‘가지’(강치)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그 의미
-
한철호;
;
(韓國史學報 =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,
v.49,
2012,
pp.229-259)
-
40
-
중국과 조선에서의 빛과 소리에 대한 기론적 논의 : 17세기 방이지 학파와 19세기 초 이규경을 중심으로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13,
pp.321-35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