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군중 속의 여자-채만식의 『탁류』에 나타난 여성 군중과 무질서의 도시공간
-
유인혁;
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;
(구보학보,
v.0,
2023,
pp.139-169)
-
32
-
외면과 가시화: 박완서의 『그해 겨울은 따뜻했네』에 나타난 서울의 도시화 과정과 계급적 공간 실천
-
유인혁;
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21,
pp.497-521)
-
33
-
소음의 도시공간, 불협화음의 소설 -박태원의 『천변풍경』에 나타난 무질서의 도시-
-
유인혁;
;
(구보학보,
v.0,
2017,
pp.41-68)
-
34
-
계몽의 반대편-이태준 역사소설에 나타난 여성, 고도, 반계몽
-
유인혁;
동국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3,
pp.203-233)
-
35
-
범죄, 지리, 젠더 : 김내성의 『마인』과 근대적 탐정소설의 세 가지 키워드
-
유인혁;
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18,
pp.47-79)
-
36
-
도시를 해킹하기—권혁주의 웹툰 <씬커>와 정지돈의 소설 『야간 경비원의 일기』에 나타난 저항의 공간적 실천
-
유인혁;
;
(대중서사연구,
v.28,
2022,
pp.329-352)
-
37
-
A Study on Chae Man Sik’s Rewriting of Mother - Centered on the (Anti)Initiation of a Male Character
-
유인혁,;
;
(人文 論叢 : 서울大學校,
v.73,
2016,
pp.287-320)
-
38
-
이태준의「토끼이야기」에 나타난 자연과 근대
-
유인혁;
동국대학교;
(인문연구,
v.0,
2012,
pp.163-184)
-
39
-
호동왕자 서사의 근대적 재현 양상 연구
-
유인혁;
동국대학교;
(대중서사연구,
v.0,
2011,
pp.413-433)
-
40
-
경성의 밑바닥, 놀라운 사회상, 변장탐방기-아카마 기후, 서호철 역, 『대지를 보라』, 아모르문디, 2016.
-
유인혁;
동국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6,
pp.353-36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