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.
- 쇼트 쇼트를 활용한 일본어 독해 교육방법 연구 : 星新一의 おーい でてこーい를 중심으로
- 임자영
-
부산외국어대학교, 국내석사,
94 p., 2008
-
32
-
문학텍스트의 생산과 해석의 관계
-
우한용;
서울대학교;
(기호학 연구,
v.22,
2007,
pp.29-64)
-
33
-
문학교육의 목표이자 내용으로서 문학능력의 개념, 교육 방향
-
우한용;
서울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09,
pp.9-40)
-
34
-
문학교육과 문학에 대한 관점의 전환
-
우한용;
서울대학교;
(국어교육연구,
v.0,
2007,
pp.137-160)
-
35
-
현대소설 담론의 젠더 문제
-
우한용;
서울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17,
2002,
pp.31-52)
-
36
-
창의인성의 방향과 국어교육의 역할
-
우한용;
서울대학교;
(국어교육,
v.0,
2013,
pp.1-29)
-
37
-
Literature and the Formation of Eco-environmental Mind
-
우한용;
서울대학교;
(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,
v.13,
2004,
pp.149-182)
-
38
-
디지털시대의 독서와 독서교육의 정체성디지털시대 독서에 대한 에세이
-
우한용;
서울대학교;
(독서연구,
v.0,
2013,
pp.9-40)
-
39
-
한국어 문화권의 교육력 제고를 위한 전망
-
우한용;
서울대학교;
(한중인문학연구,
v.0,
2008,
pp.5-26)
-
40
-
⟨삼국지⟩와 한국의 언어문화 교육
-
우한용;
서울대학교;
(한중인문학연구,
v.0,
2005,
pp.5-2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