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1건 중 101건 출력
, 4/11 페이지
-
31
-
조선초기 [治平要覽] 편찬배경과 성격
-
오항녕;
국가기록원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06,
pp.5-33)
-
32
-
存齋 魏伯珪의 格物說
-
오항녕;
;
(태동고전연구,
v.28,
2012,
pp.1-32)
-
33
-
「전제상정소준수조획(田制詳定所遵守條劃)」의 재검토 - 성립 과정과 ‘척’ 개념을 중심으로 -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古文書硏究,
v.63,
2023,
pp.111-134)
-
34
-
老峯 閔鼎重의 정치활동과 경세론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동양학,
v.0,
2022,
pp.183-204)
-
35
-
조선전기 기록관리 체계의 이해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기록학연구,
v.0,
2008,
pp.3-37)
-
36
-
正祖 초반 『英祖實錄』 편찬에 대한 연구
-
오항녕;
;
(민족문화,
v.0,
2006,
pp.313-339)
-
37
-
『경종실록』의 편찬과 수정
-
오항녕;
;
(민족문화,
v.42,
2013,
pp.183-217)
-
38
-
한국기록관리와 ‘거버넌스’에 대한 역사적 접근
-
오항녕;
전주대;
(기록학연구,
v.0,
2005,
pp.15-40)
-
39
-
조선시대의 시간 : 구획과 층위
-
오항녕;
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04,
pp.3-25)
-
40
-
문치주의와 대칭적 경세론에서 본 <<經筵日記>>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율곡학연구,
v.28,
2014,
pp.147-17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