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세계문화유산 교육의 새로운 시도 : 모바일 기반 현장체험학습
-
오영찬;
이화여자대학교;
(미술사학,
v.33,
2017,
pp.233-253)
-
32
-
조선총독부박물관 초기 소장품의 형성과 성격
-
오영찬;
이화여자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20,
pp.1-29)
-
33
-
2007·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역사(상)의 삼국시대 문화사 분석
-
오영찬;
국립중앙박물관;
(역사교육,
v.0,
2011,
pp.167-196)
-
34
-
朝鮮古蹟硏究會의 설립과 운영 - 1931~1932년을 중심으로 -
-
오영찬;
국립중앙박물관;
(한국문화,
v.0,
2011,
pp.223-251)
-
35
-
기원전 2세기대 서북한 고고 자료와 위만조선
-
오영찬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14,
pp.95-125)
-
36
-
國立中央博物館 所藏 樂浪古墳 資料와 硏究現況
-
오영찬;
국립중앙박물관;
(한국고대사연구,
v.34,
2004,
pp.41-70)
-
37
-
19세기 말 윌리엄 고우랜드의 한국 고고학 탐구
-
오영찬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상고사학보,
v.76,
2012,
pp.163-182)
-
38
-
樂浪 金銀製鉸具의 제작과 성격
-
오영찬;
국립중앙박물관;
(한국상고사학보,
v.72,
2011,
pp.125-142)
-
39
-
낙랑군 출토 봉니의 진위에 대한 기초적 검토
-
오영찬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상고사학보,
v.88,
2015,
pp.5-29)
-
40
-
역사전시와 역사교육 : 국립중앙박물관과 국사교과서
-
오영찬;
국립경주박물관;
(역사문화연구,
v.0,
2009,
pp.361-39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