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문학을 통한 지역정체성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 탐색 - 무심천을 중심으로 한 청주에 대한 인문지리적 접근 -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34,
2015,
pp.345-373)
-
32
-
학교 바깥 고전시가의 변용과 향유에 대한 교육적 성찰 - ⟨가시리⟩를 예로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23,
2012,
pp.77-107)
-
33
-
고전문학 ‘학습(學習)’의 경험과 ‘재미’의 문제에 대한 논의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14,
pp.37-63)
-
34
-
향가의 실재와 믿음 형성에 대한 고찰 -⟨도솔가⟩와 ⟨제망매가⟩, ⟨혜성가⟩를 중심으로-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13,
pp.291-331)
-
35
-
자기 위안을 위한 이야기로 본 ⟨만언사⟩의 특징과 의미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19,
2011,
pp.9-40)
-
36
-
시조 교육의 위계화를 위한 방향 탐색 -시조 형식을 중심으로-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04,
pp.139-158)
-
37
-
국어 활동 영역과 문학 영역의 관계 설정에 대한 연구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05,
pp.259-287)
-
38
-
문학교육의 관점에서 본 문학치료학 이론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12,
2009,
pp.35-58)
-
39
-
국어과 교육과정과 초등 문학교육에서의 ‘맥락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한국초등국어교육,
v.0,
2011,
pp.149-172)
-
40
-
문학 교사 ‘되기’에 대한 치료적 접근의 필요성과 그 방향 탐색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14,
2010,
pp.273-30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