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사상으로서의 코로나
-
진태원;
김형찬;
김홍중;
윤자영;
염운옥;
성공회대학교;
고려대학교;
서울대학교;
충남대학교;
경희대학교 글로컬역사문화연구소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22,
pp.13-65)
-
32
-
/서 평/ ‘몸’을 통해 본 ‘차별과 배제’의 서사, 염운옥, 『낙인찍힌 몸: 흑인부터 난민까지, 인종화된 몸의 역사』 (돌베개, 2019)
-
배인성;
전북대학교;
(영국연구,
v.0,
2019,
pp.413-421)
-
33
-
서구 근대의 인종주의가 만들어낸 폭력과 그 아픔에 관한 이야기(염운옥, 『낙인찍힌 몸: 흑인부터 난민까지, 인종화된 몸의 역사』, 돌베개, 2019)
-
김호연;
한양대학교;
(역사연구,
v.0,
2020,
pp.201-221)
-
34
-
영국의 무슬림 ‘베일(veil)’ 논쟁
-
염운옥;
이화여자대학교;
(대구사학,
v.101,
2010,
pp.265-292)
-
35
-
인종주의와 빈곤의 정치학 : 2001년 영국 올덤 소요사태
-
염운옥;
고려대학교;
(중앙사론,
v.0,
2012,
pp.417-449)
-
36
-
전간기 영국의 남성성 담론의 재구성과 파시즘
-
염운옥;
이화여자대학교;
(역사와 문화,
v.0,
2010,
pp.138-159)
-
37
-
사우스켄싱턴박물관과 식민적 코스모폴리타니즘:인도 직물 컬렉션의 경우
-
염운옥;
고려대학교;
(역사와 문화,
v.0,
2013,
pp.80-101)
-
38
-
타자의 몸: 근대성과 인종주의
-
염운옥;
고려대학교;
(역사와 문화,
v.0,
2009,
pp.134-155)
-
39
-
나치 점령기 채널 아일랜즈의 일상
-
염운옥;
이화여자대학교;
(이화사학연구,
v.0,
2010,
pp.317-346)
-
40
-
우생학과 여성 ―골턴, 피어슨, 살리비를 중심으로―
-
염운옥;
고려대학교;
(영국연구,
v.0,
2005,
pp.89-11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