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침구통류(鍼灸筒類)의 조사연구(調査硏究)
-
이영재;
엄태식;
;
(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,
v.2,
1991,
pp.70-81)
-
32
-
오존처리와 건조온도가 월동무즙의 감각특성과 소비자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
-
이동주;
엄태식;
홍신영;
이영승;
박성진;
홍명기;
박성수;
단국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;
단국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;
단국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;
단국대학교;
고려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;
(주) 오존에이드;
제주대학교;
(Journal of Naturopathy (한국자연치유학회지),
v.13,
2025,
pp.118-124)
-
33
-
⟨최척전⟩의 창작 배경과 열녀 담론
-
엄태식;
가천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12,
pp.81-124)
-
34
-
실증적 고소설 연구의 전범 –정명기, 『한국 고소설의 자료와 유통』(보고사, 2019)–
-
엄태식;
조선대학교;
(어문론총,
v.0,
2020,
pp.225-231)
-
35
-
한국 전기소설의 연구사 검토 및 서사 문법 시론
-
엄태식;
조선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19,
pp.179-214)
-
36
-
한국 고전소설의 여성주의적 연구에 대한 반성적 검토
-
엄태식;
조선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20,
pp.49-77)
-
37
-
「용궁부연록」의 『전등신화』 수용 의미와금기의 소설적 형상화
-
엄태식;
조선대학교;
(어문론집,
v.59,
2014,
pp.147-175)
-
38
-
「효열지」의 이본 존재 양상과 구성적 특징
-
엄태식;
숭실대학교;
(국학연구,
v.0,
2012,
pp.203-240)
-
39
-
금기시된 욕망과 속임수: 애정소설과 한문풍자소설의 소설사적 관련 양상
-
엄태식;
조선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35,
2015,
pp.35-70)
-
40
-
⟨운영전⟩의 양식적 특징과 소설사적 의미
-
엄태식;
한국학중앙연구원 전통한국학연구센터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3,
pp.253-29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