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독일대학의 여성 학자 유형과 지원 정책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人文科學硏究,
v.31,
2013,
pp.175-203)
-
32
-
여행문학의 텍스트 전략 - 괴테의 이탈리아 여행의 이중 문학화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人文科學硏究,
v.34,
2016,
pp.93-117)
-
33
-
20세기 초반 독일과 프랑스 간의 문화교류- 여행자 교류와 여행산문을 중심으로 -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헤세연구,
v.0,
2013,
pp.225-242)
-
34
-
환상문학으로 본 카프카의 ⟨변신⟩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04,
pp.50-68)
-
35
-
환상의 치유력: 미하엘 엔데의 끝없는 이야기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12,
pp.107-126)
-
36
-
문화 간 의사소통을 위한 프로젝트로서의 여행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06,
pp.267-282)
-
37
-
전쟁문학의 고전적 가치와 미학적 기능으로 본 에른스트 윙어의 『강철의 폭풍 속에서』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13,
pp.107-124)
-
38
-
문화 정체성의 이해와 수용 -독어독문학 수업에서 문화교육 강화를 위한 고찰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08,
pp.259-276)
-
39
-
작가의 여행과 글쓰기 - 루 안드레아스 - 살로메와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러시아 여행 (1900)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16,
pp.205-230)
-
40
-
망각, 고향상실 그리고 구원으로서의 글쓰기 -W.G. 제발트의 아우스털리츠의 경우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07,
pp.377-39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