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525건 중 1,000건 출력
, 4/100 페이지
-
31
-
소설과 영화의 신정보 제시 비교 ―수신자의 시점 컨트롤을 중심으로―
-
이해미;
경희대학교;
(日本學硏究,
v.59,
2020,
pp.141-165)
-
32
-
<전랑(戰狼)2> 연구: 주선율영화(主旋律電影)에서 블록버스터급 신주류영화(新主流電影大作)로
-
안영은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국연구,
v.82,
2020,
pp.59-78)
-
33.
- 자막번역에서의 ECR번역전략 연구 : 홍콩 영화 <세월신투(岁月神偷)>를 중심으로
- 황시민
-
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184 p., 2020
-
34
-
Re-Examination of Kaiju Film, Shin Godzilla - From the Perspective of “Tokusatsu” -
-
Lee, Kyung-hee;
;
(日本思想 = Journal of Japanese thought,
v.41,
2021,
pp.231-257)
-
35
-
신르네상스 시기 한국영화에서의 성별/성에 대한 재현
-
김선아;
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01,
pp.73-112)
-
36
-
신자유주의 시대 남한영화에 재현된 탈북이주민과 그 문화적 함의
-
이명자;
목원대학교;
(통일문제연구,
v.25,
2013,
pp.95-128)
-
37
-
매체 전환과 스토리텔링의 관계 고찰- 웹툰 「신과 함께」와 영화 〈신과 함께〉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
-
주민재,;
;
(한국문예비평연구 = Jorunal of Korean literary criticism,
v.61,
2019,
pp.161-189)
-
38
-
‘신주류영화(新主流電影)’, 국가의 요청에 부응하는 중국 영화의 새 지향
-
유경철;
고려대학교;
(중국학논총,
v.0,
2022,
pp.203-231)
-
39.
- 문화교육을 활용한 효율적인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: -영화 <신과 함께-인과 연>의 성주신을 중심으로-
- 김가원
-
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100, 2024
-
40
-
문혁시기 중국의 북한영화 수용과 신세기 전후 중국영화 속의 잔영
-
장동천;
고려대학교;
(중국현대문학,
v.0,
2021,
pp.135-16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