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20건 중 520건 출력
, 4/52 페이지
-
31
-
중국 남서부지역 소수민족의 문화변동 -내부 식민지화와 발전 이데올로기 사이에서-
-
박희;
서원대학교;
(아시아연구,
v.13,
2010,
pp.67-108)
-
32
-
동티모르 재식민지화와 독립: 서방권 국가들의 구성주의적 행위를 중심으로
-
김열수;
국방대;
(한국과 국제정치,
v.19,
2003,
pp.65-95)
-
33
-
읍면동은 왜 식민지화 되었나?
-
전상직;
서강대학교;
(시민정치연구,
v.0,
2021,
pp.73-108)
-
34
-
1910년 조선 植民地化의 내적 원인
-
이헌창;
고려대학교;
(조선시대사학보,
v.0,
2010,
pp.261-307)
-
35
-
Some Comment on Mr. Y. Tabuchi's Article “Japan's Colonial Policy in French Indochina, 1940-41”
-
Iwatake, T.;
;
(東南アジア. : 歷史と文化,
v.1981,
1981,
pp.189-191)
-
36
-
早瀬晋三 著『未完のフィリピン革命と植民地化』(世界史リブレット123)山川出版社 2009年 90ページ
-
;
;
(Southeast Asia: History and Culture,
v.2010,
2010,
pp.151-154)
-
37
-
森山茂德 著, 김세민 譯, 近代日韓闢係史硏究-朝鮮植民地化と國際關係 (東京 : 東京大學出版會, 1987 : 玄音社, 1994)
-
이민원;
;
(韓日關係史硏究= (The)Korea-Japan historical review,
v.4,
1995,
pp.136-144)
-
38
-
Marginalized dominating white minority in decolonizing Barbados : ―Narratives on perceived whites, privilege, anti-racism and white accountability―
-
Ito, Michiru;
International Center, Otsuma Women’s University;
(人間生活文化硏究 =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culture studies,
v.2024,
2024,
pp.26-52)
-
39
-
불교적 식민지화? : 1910년대 한국 원종(圓宗)과 일본 조동종(曹洞宗) 연합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
-
김환수;
;
(불교연구,
v.0,
2012,
pp.9-33)
-
40
-
전후 대만 사회성격론의 문학적 정초— 진영진(陳映眞)의 「초롱꽃(鈴璫花)」(1983)
-
연광석;
浙江海洋大學 中文科;
(중국현대문학,
v.0,
2024,
pp.1-2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