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.
- 최승자 초기시에 나타난 물 이미지 연구 : 멜랑콜리적 주체와 아브젝트적 상상력
- 윤초롬
-
명지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87pp., 2020
-
32.
- 김수영의 변증법적 공간 연구 : “마당”·“밭”·“마리서사” 공간을 중심으로
- 김웅기
-
경희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04 p., 2020
-
33.
- 容齋 李荇의 漢詩 硏究
- 이재숙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, 207 p., 2009
-
34
-
시인들의 ‘자기시론’에 나타난 특성과 그 의미 - 2000년대 이후의 3가지 기획특집을 중심으로 -
-
정효구;
충북대학교;
(어문론총,
v.0,
2024,
pp.419-445)
-
35
-
자기부정을 통한 생성의 시론- 범대순의 ‘0=∞’ 시론이 『무등산』에 ‘미치기’까지
-
김영삼;
전남대학교;
(전남대 어문논총,
v.0,
2025,
pp.257-290)
-
36.
- 1930年代 詩의 이미지論 : 鄭芝溶, 金起林을 中心으로
- 이기형
-
檀國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ii, 70p., 1992
-
37
-
菱洋 朴宗善의 검서관 시절 교유와 작시 활동
-
손혜리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대동한문학(大東漢文學),
v.74,
2023,
pp.163-201)
-
38.
- 최하림 시의 변화 양상 연구
- 김정순
-
목포대학교, 국내석사,
iv, 59장, 2017
-
39.
- 한국 현대 ‘불교명상시’의 치유성 연구 : 조오현ㆍ석성우ㆍ이성선을 중심으로
- 민미경
-
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, 국내박사,
ix, 159 p., 2024
-
40
-
『石林詩話』의 詩學과 그 의의
-
김규선;
선문대학교;
(중국연구,
v.82,
2020,
pp.3-1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