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실설비와 연계된 변전종합실습장 구축 방안
-
정규원;
장성익;
김기일;
송충기;
박휘나;
민병욱;
한전 중앙교육원;
한전 중앙교육원;
한전 중앙교육원;
한전 중앙교육원;
한전 중앙교육원;
한전 중앙교육원;
(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,
v.2007,
2007,
pp.754-755)
-
32
-
“고결한 정의의 원칙과 실질적인 평화의 복원” 사이에서: 제1차 세계대전 후 독일황제에 대한 전범재판의 시도
-
송충기;
공주대학교;
(서양사연구,
v.0,
2019,
pp.39-74)
-
33
-
‘역사로의 회귀’와 동독에 대한 기억 - ‘베를린궁전’(Berliner Schloss)의 복원에 대한 논쟁 -
-
송충기;
공주대학교;
(독일연구 - 역사·사회·문화,
v.0,
2017,
pp.197-223)
-
34
-
윌리엄 스마이저 (김남섭 역), 『얄타에서 베를린까지: 독일은 어떻게 분단되고 통일되었는가』 (동녘, 2019)
-
송충기;
공주대학교;
(서양사론,
v.0,
2019,
pp.247-253)
-
35
-
⟨서 평⟩ 최승완, 『동독민 이주사 1949-1989: 분단의 벽을 넘어 또 다른 독일로 간 동독민 이야기』
-
송충기;
공주대학교;
(독일연구 - 역사·사회·문화,
v.0,
2019,
pp.185-192)
-
36
-
나치 시대 콘라트 로렌츠(Konrad Lorenz)의 학문과 정치
-
송충기;
공주대학교;
(역사학연구,
v.0,
2017,
pp.181-203)
-
37
-
⟨批評論文⟩ 현재주의(presentism)의 대두와 ‘현재사(history of the present)’
-
송충기;
공주대학교;
(역사교육,
v.0,
2020,
pp.65-85)
-
38
-
역사학과 과거청산 : 나치시대 역사가들을 어떻게 볼 것인가?
-
송충기;
공주대학교;
(대구사학,
v.80,
2005,
pp.261-286)
-
39
-
근대 초 프로이센 엔지니어의 양성 -베를린 바우아카데미(1799-1879)를 중심으로-
-
송충기;
공주대학교;
(역사학연구,
v.0,
2012,
pp.267-289)
-
40
-
뉘른베르크 재판과 나치청산
-
송충기;
서울대학교;
(역사교육,
v.0,
2005,
pp.223-24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