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48건 중 248건 출력
, 4/25 페이지
-
31
-
성혼과 이이의 수양론과 그 현대적 의의
-
이영자;
충남대학교;
(동방학,
v.0,
2013,
pp.159-197)
-
32
-
성혼예식과 풍산제의의 연관성에 대한 재고
-
김영선;
광주가톨릭대학교;
(신학전망,
v.0,
2017,
pp.165-209)
-
33
-
이황 성리설에서 본 성혼 성리설의 특징
-
추제협;
경북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13,
pp.239-270)
-
34
-
폐질(廢疾)의 성리학자 성혼(成渾)과 왜란(倭亂)
-
곽신환;
숭실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18,
pp.83-106)
-
35
-
우계 성혼의 理重視的 실천유학 사상에 관한 공찰
-
이형성;
전주대학교;
(한국사상과 문화,
v.0,
2004,
pp.217-244)
-
36
-
혼전임신 출산의 추세, 2001~2015: 성혼과정 변화에 대한 함의
-
이병호;
경기연구원;
(한국인구학,
v.40,
2017,
pp.107-129)
-
37
-
우계 성혼(成渾, 1535∼1598)의 자성적(自省的) 삶과 자기 완성의 공부
-
송수진;
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;
(한국학논집,
v.0,
2022,
pp.5-36)
-
38
-
성혼의 ‘리기일발(理氣一發)’에 나타난 ‘주리이발(主理而發)’의 함의와 경향성 탐색
-
김승영;
충남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15,
pp.187-208)
-
39.
- 혼례사진과 예식공간의 변화에 따른 혼례문화 변동
- 노영미
-
안동대학교, 국내박사,
xii, 263 p., 2017
-
40
-
우계 성혼의 퇴율절충론의 철학적 함의 -리기일발설(理氣一發說)의 존재론적 해석
-
김우형;
연세대학교;
(유학연구,
v.31,
2014,
pp.117-13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