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,551건 중 1,000건 출력
, 4/100 페이지
-
31
-
성리학에서 다산학으로 - 서학으로 해석한 유교
-
허남진;
;
(인간·환경·미래 = Human beings, Environment and Future,
v.10,
2013,
pp.3-35)
-
32
-
명재 성리학의 자주성과 역동성
-
최정묵;
충남대학교;
(유학연구,
v.31,
2014,
pp.185-208)
-
33
-
기호성리학 연구의 과제와 전망
-
이영자;
충남대학교;
(유학연구,
v.24,
2011,
pp.75-109)
-
34
-
조선시대 남성복식에 발현된 성리학적 몸 인식
-
고윤정;
임은혁;
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;
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;
(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= 복식문화연구,
v.31,
2023,
pp.573-585)
-
35
-
성리학에서 ‘형식’의 문제 − 朱子 성리학을 중심으로 −
-
김재경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11,
pp.345-373)
-
36.
- 조선후기 성리학적 군주론 연구 : 정조의 「대학」해석을 중심으로
- 소진형
-
이화여자대학교, 국내석사,
vi, 126 p., 2001
-
37
-
성리학에서의 도덕적 추론의 성격
-
김철호;
경인교육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14,
pp.256-281)
-
38.
- 조선시대 심질의 성리학적 이해와 대처
- 정유경
-
울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p, 2023
-
39
-
[이 책을 말한다]이원명의 『고려시대 성리학 수용 연구』
-
오이환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1,
1998,
pp.174-179)
-
40.
- 도덕성에 대한 성리학적 고찰
- 김현정
-
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52, 20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