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박봉술창 ⟨춘향가⟩의 고조(古調)적 특성과 전승계보 고찰
-
성기련;
한국교원대학교;
(한국음악사학보,
v.0,
2011,
pp.131-169)
-
32
-
미의식에 따른 판소리 명창관의 시대적 변화 고찰
-
성기련;
한국교원대학교;
(한국음악연구,
v.38,
2005,
pp.119-141)
-
33
-
‘글 읽는 소리’의 전통 속에서 살펴 본 송서(誦書)의 개념 변화 및 사설붙임의 특징
-
성기련;
한국학중앙연구원;
(국악원논문집,
v.0,
2015,
pp.171-200)
-
34
-
‘소리판’을 주제로 한 통합적 판소리 교수․학습 방법 연구
-
성기련;
한국교원대학교;
(판소리연구,
v.0,
2009,
pp.219-262)
-
35
-
전통음악과 서울올림픽 행사에 관한 당대 논의의 재검토-Margaret Walker Dilling의 자료와 해석을 중심으로-
-
성기련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음악연구,
v.65,
2019,
pp.141-173)
-
36
-
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민요 관련 지도내용 고찰
-
성기련;
한국교원대학교;
(한국민요학,
v.25,
2009,
pp.187-224)
-
37
-
이보형의 판소리 현지조사와 연구 성과의 분석적 고찰
-
성기련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음악연구,
v.63,
2018,
pp.83-115)
-
38
-
The Pansori Performance Culture in Colonial Korea : The Role of Joseon-seongak-yeonguhoe
-
성기련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동양음악(구 민족음악학),
v.23,
2001,
pp.193-207)
-
39
-
20세기 초 민요에 대한 인식과 가창 교육의 쟁점
-
성기련;
한국학중앙연구원;
(국악교육연구,
v.12,
2018,
pp.101-124)
-
40
-
남과 북의 국악 교육
-
성기련;
한국교원대학교;
(동양음악(구 민족음악학),
v.30,
2008,
pp.137-18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