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99건 중 199건 출력
, 4/20 페이지
-
31
-
중봉(重峯) 조헌(趙憲)의 상소문(上疏文)을 통해 본 오늘날 대북정책의 방향
-
이상익;
;
(신아세아,
v.18,
2011,
pp.122-145)
-
32
-
상소문을 통해 본 17세기 중반 남인 계열의 의식세계 : 梅山 李夏鎭의 庚申辭大諫疏를 중심으로
-
윤재환;
;
(韓國實學硏究,
v.14,
2007,
pp.219-250)
-
33
-
간재(艮齋) 이덕홍의 관직 활동과 상소문에 나타난 임진왜란 대책
-
송석현;
경북대학교;
(국학연구론총,
v.0,
2022,
pp.91-124)
-
34
-
농암의 사직상소문에 나타난 거절 표현 연구 - 표현교육의 관점에서
-
주재우;
전북대학교;
(어문연구,
v.99,
2019,
pp.239-264)
-
35
-
양란(兩亂) 이후 상소문에 나타난 질병 표현의 변화 - 조경(趙絅)의 경우를 중심으로 -
-
김하라;
;
(국문학연구,
v.0,
2016,
pp.95-120)
-
36
-
서애 유성룡의 상소문을 통해 본 소통의 미학 - 임진왜란을 중심으로 -
-
신두환;
안동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15,
pp.255-300)
-
37
-
중국 근대 康有爲의 체육사상에 관한 고찰— 무술변법관련 상소문과 ≪大同書≫를 중심으로
-
신의연;
김연수;
서남대학교;
서남대학교;
(건지인문학,
v.0,
2016,
pp.163-186)
-
38
-
상소문의 서술 전략과 논증적 글쓰기에 있어서의 활용 방안 모색
-
김기림;
조선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6,
pp.411-440)
-
39
-
최명길의 상소문에 나타난 글쓰기 방법 연구 - 병자봉사(丙子封事)를 대상으로 -
-
이영호;
계명대학교;
(작문연구,
v.0,
2016,
pp.65-93)
-
40
-
독립협회에 대한 유교 관료와 지식인들의 인식 : 상소문(上疏文)을 중심으로
-
윤대식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사회이론,
v.0,
2016,
pp.103-13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