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52건 중 252건 출력
, 4/26 페이지
-
31
-
내부적 역동성에 주목한 북조선 혁명사 ―『북조선 탄생』(찰스 암스트롱, 서해문집, 2006)
-
기광서;
조선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08,
pp.443-450)
-
32
-
North Josun Federation of Arts : Origins and Context
-
Nam, Won Jin;
;
(통일인문학 = The journal of the humanities for unification,
v.100,
2024,
pp.273-314)
-
33
-
[북리뷰]북한연구의 새로운 논쟁 촉매제(와다 하루끼 지음, 『북조선: 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군국가로』(돌베개, 2002))
-
이성봉;
;
(統一問題硏究 =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,
v.14,
2002,
pp.337-338)
-
34
-
해방 후 북한의 반소반공운동: 조선민주당과 북조선 천도교청우당
-
기광서;
조선대학교;
(동북아연구,
v.36,
2021,
pp.101-134)
-
35
-
북조선의 무용연구 현황 고찰
-
김해금;
김영화;
중국 연변대학교;
중국 연변대학교;
(무용역사기록학,
v.60,
2021,
pp.49-76)
-
36
-
국가건설기 북조선인민위원회 내무국의 조직과 정치세력 구성
-
김선호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동북아연구,
v.37,
2022,
pp.5-39)
-
37
-
미국의 두 표상 - 해방기 북조선 문학의 미국에 대한 인식 연구 -
-
남원진;
건국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11,
pp.423-448)
-
38
-
북조선예술총련맹(北朝鮮藝術總聯盟)의 탄생과 그 이면
-
남원진;
건국대학교;
(통일인문학,
v.100,
2024,
pp.273-314)
-
39.
- 제2차 국공내전기 북조선노동당 대 중공의 지원에 관한 연구
- Xu, Chao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04 p, 2006
-
40
-
북조선 시문학 연구를 위한 제언
-
남원진;
건국대학교;
(한국현대문학연구,
v.0,
2013,
pp.83-14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