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.
- Freudenthal의 수학화와 역사 발생적 원리에 따른 함수개념 지도의 이론적 고찰
- 배주연
-
中央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p., 2007
-
32
-
광고 분야의 문헌 분류 체계에 관한 비교 연구
-
배주연;
김정현;
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;
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;
(한국정보관리학회 2005년도 제12회 학술대회 논문집,
v.2005,
2005,
pp.79-86)
-
33
-
상담 분야의 질적연구 동향분석(2002년~2011년)
-
김봉환;
배주연;
오효정;
윤영선;
제갈원;
;
(한국심리학회지 : 상담 및 심리치료,
v.24,
2012,
pp.729-752)
-
34
-
말초혈액 자연살해세포가 증가되어 있는 원인불명의 습관성유산 환자에서 prednisolone을 이용한 자연살해 세포의 세포용해능 감소에 관한 연구
-
안현숙;
차선화;
구화선;
배주연;
유지희;
송인옥;
안현경;
황수진;
박동욱;
양광문;
;
(Obstetrics & Gynecology Science,
v.54,
2011,
pp.361-368)
-
35
-
선조 임인년(1602) 명나라 사신 접반의 교유 양상- 이안눌의 「東槎錄」을 중심으로
-
배주연;
이화여자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13,
pp.189-210)
-
36
-
추방된 이태원의 기억: 다큐멘터리 ⟨이태원⟩과 소설 『단순한 진심』을 중심으로
-
배주연;
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 인문학 연구소;
(여성학논집,
v.37,
2020,
pp.17-47)
-
37
-
디지털 이미지와 여성의 장소 기억: ⟨개의 역사⟩를 중심으로
-
배주연;
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 인문학 연구소;
(비교문학,
v.0,
2019,
pp.35-59)
-
38
-
포스트메모리와 5.18-다큐멘터리 영화 ⟨김군⟩을 중심으로-
-
배주연;
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 인문학 연구소;
(서강인문논총,
v.0,
2020,
pp.5-36)
-
39
-
마태오 리치 『교우론(交友論)』과 한·중에서의 반향(反響)
-
배주연;
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;
(비교문학,
v.0,
2016,
pp.119-142)
-
40
-
포스트 식민의 문화 상상: 이용민의 괴기영화와 일본군 보물 매장설
-
배주연;
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 인문학 연구소;
(역사연구,
v.0,
2020,
pp.51-8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