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강릉(江陵) 오죽헌(烏竹軒)의 조선시대 사회사(社會史)적 의미
-
이상균;
강원도청;
(헤리티지:역사와 과학,
v.48,
2015,
pp.64-81)
-
32
-
강릉(江陵) 오죽헌(烏竹軒)의 조선시대 사회사(社會史)적 의미
-
이상균;
강원도청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48,
2015,
pp.64-81)
-
33.
- 망우당 한시에 구현된 사상적 특질
- 김윤아
-
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35, 2014
-
34.
- 태권도 그랜드 마스터의 생애사를 통해 나타난 초등체육의 교육적 의미
- 서경원
-
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국내박사,
, 2022
-
35
-
강릉(江陵) 오죽헌(烏竹軒)의 조선시대 사회사(社會史)적 의미
-
이상균;
강원도청;
(문화재,
v.48,
2015,
pp.64-81)
-
36
-
新羅 中古期 郎徒와 花郞
-
曺凡煥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52,
2008,
pp.403-433)
-
37.
- 齊儀式에 나타난 道場偈나비춤 연구
- 송연정
-
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70 p., 2000
-
38.
- 버림의 예술
- 홍영숙
-
계명대학교 통·번역대학원, 국내석사,
v, 178 p., 2011
-
39.
- 寧越地域 書藝文化 資料에 관한 硏究
- 김태숙
-
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, 국내석사,
P89, 2012
-
40.
- 四柱命理에 있어서 空亡에 대한 硏究 : 空亡에 대한 特性과 活用을 中心으로
- 최상길
-
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, 국내석사,
ix, 85 p., 20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