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<藝壇一百人>을 통해 본 1910년대 기생집단의 성격
-
오현화;
한림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04,
pp.316-349)
-
32
-
한ㆍ일 ‘발인형연행’의 양상 비교와 그 형성 과정
-
허용호;
전남대학교;
(비교민속학,
v.0,
2008,
pp.77-119)
-
33
-
일제강점기 외래 공연예술의 유입양상: 조선박람회(1929)의 연예관과 흥행장을 중심으로
-
신근영;
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;
(다문화콘텐츠연구,
v.0,
2025,
pp.95-118)
-
34
-
경기 통속민요 〈매화타령〉의 지속과 변모
-
손인애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30,
2010,
pp.241-274)
-
35
-
서도 통속민요 〈긴염불〉 연구 - 평양굿 〈긴염불〉 및 서도민요 〈개성산염불〉과의 관련성을 토대로
-
손인애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31,
2011,
pp.113-153)
-
36.
- 휘모리잡가의 전승양상과 음악적 구조의 고찰
- 강희진
-
단국대학교, 국내박사,
218 p., 201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