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77건 중 177건 출력
, 4/18 페이지
-
31
-
학살의 기억, ‘이제는 말할 수 있다’(⟨마을로 간 한국전쟁⟩, 박찬승, 돌베개, 2010. / ⟨‘빨갱이’의 탄생: 여순사건과 반공국가의 형성⟩, 김득중, 선인, 2009.)
-
김정인;
춘천교육대학교;
(시민과 세계,
v.0,
2010,
pp.333-336)
-
32
-
공동연구:식민지시기의 지식인과 민족해방운동론 총론:식민지시기의 지성사와 민족해방운동
-
박찬승;
;
(역사와 현실,
v.6,
1991,
pp.18-22)
-
33
-
[시론(時論)] 역대 대통령 기념관 설립을 제안함
-
박찬승;
;
(역사와 현실,
v.34,
1999,
pp.1-15)
-
34
-
[연구논문] 1930년대 安在鴻의 民世主義論
-
박찬승;
;
(한국 근현대사 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,
v.20,
2002,
pp.270-291)
-
35
-
한국전쟁기 동족마을 주민들의 좌우분화 - 금산군 부리면의 사례
-
박찬승;
;
(지방사와 지방문화 =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,
v.11,
2008,
pp.225-257)
-
36
-
근대도시 생활문화사 연구 방법론의 개척(고석규, 2004, 『근대도시 목포의 역사, 공간, 문화』, 서울대 출판부)
-
박찬승;
;
(지방사와 지방문화 =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,
v.7,
2004,
pp.355-363)
-
37
-
1920ㆍ30년대 康津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
-
박찬승;
;
(지방사와 지방문화 =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,
v.14,
2011,
pp.151-201)
-
38
-
한국전쟁과 마을 - 기존 연구의 정리와 향후 연구의 과제
-
박찬승;
;
(지방사와 지방문화 =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,
v.12,
2009,
pp.411-455)
-
39
-
[논문] 한국전쟁과 진도 동족마을 세등리의 비극
-
박찬승;
;
(역사와 현실,
v.38,
2000,
pp.274-308)
-
40
-
[기획1 : 전쟁기 민간인 학살과 국가의 책임] 동학농민전쟁기 일본군ㆍ조선군의 동학도(東學徒) 학살
-
박찬승;
;
(역사와 현실,
v.54,
2004,
pp.21-6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