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28건 중 228건 출력
, 4/23 페이지
-
31
-
방각본(坊刻本) <홍길동전(洪吉童傳)>이 한말(韓末) 민중운동(民衆運動)에 미친 영향
-
장양수;
;
(국어국문학,
v.112,
1994,
pp.169-190)
-
32
-
[특집: 현단계 사회과학논쟁의 쟁점]통일운동은 민중운동의 주요한 영역이다
-
조희연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4,
1990,
pp.153-160)
-
33.
- 명치국가 형성기의 민중운동과 攘夷意識 : 천황제 이데올로기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
- 崔恩珠
-
全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64p., 2005
-
34
-
政爭과 ‘5·4’: 외교투쟁에서 민중운동으로
-
펑샤오차이;
복단대학;
(중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09,
pp.71-90)
-
35
-
잊혀진 항쟁: 1946년 10월 항쟁과 냉전기 민중운동사의 궤적
-
임세화;
성균관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24,
pp.355-399)
-
36
-
한국 천주교민중운동과 ‘가톨릭 시민성’ 탐구
-
황경훈;
가톨릭대학교;
(가톨릭신학,
v.0,
2021,
pp.349-384)
-
37
-
근대일본의 민중운동사 연구에 관한 소고
-
김필동;
세명대;
(일본어문학,
v.0,
2004,
pp.375-398)
-
38
-
19세기 동아시아 민중운동과 여성의 참여
-
배항섭;
성균관대학교;
(역사교육,
v.0,
2019,
pp.377-408)
-
39.
- 1920年代 ‘全北民衆運動者同盟’ 硏究
- 오대록
-
단국대학교, 국내석사,
iv,76장, 2006
-
40
-
기억과 망각의 시각문화 - 한국 현대 민중운동의 정치학과 미학(1980-1994)
-
박소양;
;
(현대미술사연구 = Journal of history of modern art,
v.18,
2005,
pp.43-7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