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.
- 친일반민족행위자 청산에 관한 연구
- 서동희
-
창원대학교, 국내석사,
75p., 2015
-
32.
- 일본 중등역사교과서의 前근대 한국관련 서술의 변화
- 장경진
-
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76페이지, 2010
-
33
-
친일 관련 과거사위원회를 둘러싼 사회적 논의와 갈등-국가의 역사갈등 개입과 화해의 가능성-
-
이세영;
사단법인 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;
(학림,
v.51,
2023,
pp.259-290)
-
34
-
함흥지방법원 검사의 기소자료에 나타난 함경도 지역 3․1운동
-
최우석;
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18,
pp.9-34)
-
35
-
일제 식민잔재와 친일문제
-
이용창;
;
(국학연구,
v.7,
2005,
pp.297-328)
-
36
-
친일 관련 과거사위원회를 둘러싼 사회적 논의와 갈등-국가의 역사갈등 개입과 화해의 가능성-
-
이세영;
사단법인 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;
(학림,
v.51,
2023,
pp.259-290)
-
37
-
방송의 공정성과 법의 포기
-
박재윤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행정판례연구,
v.25,
2020,
pp.167-212)
-
38
-
일제 말부터 해방 이후 김동인 문학에 나타난 친일의 내적 논리
-
김희진;
숭실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22,
pp.159-193)
-
39.
- 파리 외방전교회 주교들의 문서를 통한 대한인식과 선교정책 연구
- 이성현
-
수원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46, 20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