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15세기의 ‘風土不同論’과 조선의 고유성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한국사연구,
v.0,
2013,
pp.45-86)
-
32
-
창조적 일탈의 상상: 19세기 초 이규경의 하늘과 땅에 대한 사유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12,
pp.197-226)
-
33
-
전근대라는 이름의 덫에 물린 19세기 조선 과학의 역사성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11,
pp.99-130)
-
34
-
崔漢綺의 기론적 서양과학 읽기와 기륜설
-
문중양;
한국정신문화연구원;
(대동문화연구,
v.43,
2003,
pp.273-312)
-
35
-
홍이섭의 과학사 연구를 넘어서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05,
pp.31-63)
-
36
-
세종대 과학기술의 ‘자주성’, 다시 보기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06,
pp.39-72)
-
37
-
Traditional Cosmology Associated with the I-Ching and Anti-Cosmological Discourses in 18th-Century Korea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,
v.12,
1999,
pp.177-227)
-
38
-
조선후기의 수차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1994,
pp.261-343)
-
39
-
세종대 박연의 율관 제작; 고악 구현의 난제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20,
pp.49-78)
-
40
-
세종대 척도의 탄생 ; 주척과 황종척을 중심으로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21,
pp.239-26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