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창조적 일탈의 상상: 19세기 초 이규경의 하늘과 땅에 대한 사유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12,
pp.197-226)
-
32
-
김영식의 동아시아 과학 전통 읽기를 넘어서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한국과학사학회지,
v.36,
2014,
pp.423-437)
-
33
-
18세기말 천문역산 전문가의 과학활동과담론의 역사적 성격-徐浩修와 李家煥을 중심으로-
-
문중양;
한국정신문화연구소;
(동방학지,
v.0,
2003,
pp.51-84)
-
34
-
전근대라는 이름의 덫에 물린 19세기 조선 과학의 역사성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11,
pp.99-130)
-
35
-
19세기의 호남 실학자 이청의 ⟨井觀編⟩ 저술과 서양 천문학 이해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06,
pp.125-156)
-
36
-
한국과학사 연구의 현황과 쟁점 —전근대 천문지리학 및 우주론 연구를 중심으로—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14,
pp.343-370)
-
37
-
중국과 조선에서의 빛과 소리에 대한 기론적 논의 : 17세기 방이지 학파와 19세기 초 이규경을 중심으로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13,
pp.321-359)
-
38
-
Traditional Cosmology Associated with the I-Ching and Anti-Cosmological Discourses in 18th-Century Korea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,
v.12,
1999,
pp.177-227)
-
39
-
세종대 척도의 탄생 ; 주척과 황종척을 중심으로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21,
pp.239-267)
-
40
-
강희제는 어떻게 朱載堉의 樂律을 부정했나― 명청대 眞律ㆍ眞尺 재현의 경쟁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24,
pp.77-10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