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07건 중 407건 출력
, 4/41 페이지
-
31
-
문묘일무 무보해(舞譜解) 동작의 형식을 활용한 춤사위 분석체계 연구
-
임학선;
김기화;
성균관대학교;
성균관대학교;
(한국무용연구,
v.30,
2012,
pp.1-20)
-
32
-
고무보 저층수 배출관의 유사 배제 성능 실험 연구
-
정석일;
이승오;
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;
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;
(한국안전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,
v.31,
2016,
pp.133-140)
-
33
-
밀양백중놀이 중 북춤에 관한 연구 -오북줌 무보화를 중심으로-
-
정미숙;
고려대학교;
(영남춤학회誌,
v.7,
2019,
pp.167-200)
-
34
-
일제 강점기 처용무의 춤동작과 무용서사 비교 : 일제강점기 1929년 무보(舞譜), ⟨조선무악(朝鮮舞樂)⟩(1931) 영상자료를 중심으로
-
최미연;
한국예술종합학교;
(예술과 과학기술,
v.15,
2019,
pp.9-42)
-
35
-
장자사상의 ‘유遊’로 본 진도북춤의 심미구조 분석- 무보舞步를 中心으로 -
-
이용희;
성균관대학교;
(한국무용교육학회지,
v.28,
2017,
pp.117-135)
-
36
-
정재 무보체계의 보완과 방안마련 연구 Ⅲ
-
손선숙;
단국대학교;
(한국음악사학보,
v.0,
2008,
pp.307-338)
-
37
-
중국 고대무보의 유존과 당대(當代) 연구실태 개관
-
유칭이;
최춘월;
;
(국악원논문집,
v.0,
2011,
pp.81-118)
-
38
-
전통춤 계승자들의 무보, 누구를 위한 기록일까? (김명수, 『조선의 마지막 춤꾼 이동안 : 재인청 춤의 기억과 김명수식 춤 표기법』(서해문고, 2015))
-
최, 해리;
;
(무용역사기록학 = The journal of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& history,
v.40,
2016,
pp.315-320)
-
39
-
무애무無㝵舞 재현 및 가상 무보舞譜 전망 ― 원효元曉의 『십문화쟁론十門和諍論』을 중심으로
-
채한숙;
대구시립국악단;
(국학연구,
v.0,
2012,
pp.51-84)
-
40
-
궁중정재의 고무보 해석을 위한 교육방법안
-
손선숙;
단국대학교;
(한국문학과 예술,
v.0,
2020,
pp.31-8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