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104건 중 1,000건 출력
, 4/100 페이지
-
31.
-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만주지역 독립운동사 서술과 자료 분석
- 박나정
-
수원대학교, 국내석사,
77 p., 2014
-
32
-
現代 中國의 滿洲 地域史 硏究 - 渤海史 硏究를 中心으로
-
韓圭哲;
;
(中國問題硏究,
v.9,
1997,
pp.21-45)
-
33.
- 만주·연해주지역 “말갈관(靺鞨罐)” 검토
- 안재필
-
경희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91 p., 2019
-
34
-
만주지역 한국독립운동사적지 실태조사 현황과 과제 : 동북아 평화의 공간적 확장과 연대
-
김주용;
원광대학교;
(동국사학,
v.0,
2023,
pp.107-142)
-
35
-
중국 만주지역 조선인 디아스포라와 한국전쟁
-
김재기;
임영언;
;
(재외한인연구,
v.0,
2011,
pp.163-192)
-
36
-
고구려와 중국왕조의 만주지역에 대한 공간인식
-
;
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17,
pp.165-208)
-
37
-
The Nationalist Government's policy over Korean-Chinese in Manchuria after the Second Sino-Japanese War(1945~1948)
-
Park, Junghyun;
;
(大丘史學,
v.123,
2016,
pp.209-244)
-
38.
- 1920년대 만주지역 청년의 여성관과 여성문제 : 성경시보(盛京時報)를 통하여 본 사례연구
- 김동학
-
東亞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ii, 48p., 2004
-
39.
- 황하유역과 만주지역의 원시사회 발전에 관한 연구
- 김영남
-
단국대학교, 국내석사,
71p., 1993
-
40
-
지역언어학의 관점에서 본 만주어 -rA와 몽골어 -QU의 유사성
-
박상철;
서울대학교;
(언어학,
v.0,
2020,
pp.3-2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