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「万宝山」,농민문학과 개척문학
-
유수정;
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;
(만주연구,
v.0,
2011,
pp.117-146)
-
32
-
식민지기 일본어문학에 나타난 ‘만주’ 조선인상 - ‘만주’를 바라보는 동시대 시선의 제상(諸相)
-
신승모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34,
2008,
pp.393-428)
-
33
-
대한민국임시정부의 萬寶山 사건 인식과 대응 : 혐오와 차별의 공간적 팽창 차단
-
김주용;
원광대학교;
(동국사학,
v.0,
2022,
pp.33-66)
-
34.
- A Study on the Chang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Nanjing Nationalist Government and the Northeast Authorities before and after the Wanbaoshan Event
- 갈천
-
영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53, 2017
-
35
-
만주 판타지의 허상, 이주 조선인의 현실과 관찰자로서의 장혁주 - 『개간』을 중심으로
-
김지영;
;
(人文科學硏究論叢 = The journal of humanities,
v.31,
2010,
pp.71-112)
-
36
-
1931년의 ‘배화(排華)사건’과 민족주의 담론
-
이상경;
한국과학기술원;
(만주연구,
v.0,
2011,
pp.85-115)
-
37
-
식민지기 일본어문학에 나타난 ‘만주’ 조선인상 - ‘만주’를 바라보는 동시대 시선의 제상(諸相) -
-
신승모;
동국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08,
pp.395-430)
-
38
-
제5장 윤봉길의 상해의거와 대한민국임시정부
-
황묘희;
;
(민족사상 = Korean association of national thought,
v.2,
2008,
pp.177-202)
-
39
-
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변형, 리후이잉의 萬寶山 읽기
-
김창호;
강원대학교;
(만주연구,
v.0,
2011,
pp.71-84)
-
40.
- 1931년 식민지 조선에서의 반중국인 폭동의 동학
- 임준규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115 p., 20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