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687건 중 1,000건 출력
, 4/100 페이지
-
31
-
러시아문학의 종말론적 신화양상: 고대문학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(III)
-
박종소;
서울대학교;
(러시아연구,
v.17,
2007,
pp.31-58)
-
32
-
현대 러시아문학에서의 환상: 현실과 역사의 해체와 전복의 서사
-
박미령;
건국대학교;
(동유럽발칸학,
v.12,
2010,
pp.103-146)
-
33
-
[서평] 번역의 잊혀진 역사를 복원하기 : 한국근대문학과 러시아문학 수용
-
박성창;
서울대학교;
(한국민족문화,
v.0,
2016,
pp.591-606)
-
34
-
이효석의 문학적 자의식과 러시아문학 - 이효석과 <세라피온 형제>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-
-
권기배;
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;
(슬라브硏究,
v.38,
2022,
pp.265-290)
-
35
-
Reflection on the Spot Where the Flame Went
-
PAIK, Seung Moo;
;
(안과밖 : 영미문학연구,
v.44,
2018,
pp.235-244)
-
36
-
1920년대 러시아문학의 중국적 수용과 번역 -레오니드 안드레예프를 중심으로-
-
김소정;
부산대학교;
(중국어문학,
v.0,
2017,
pp.351-376)
-
37
-
러시아문학의 한국적 수용과 번역의 변천사 - 가독성과 원전 번역 사이에서 탐구와 모색
-
이은경;
원광대학교;
(통번역학연구,
v.24,
2020,
pp.67-96)
-
38
-
이효석의 문학적 자의식과 러시아문학 - 이효석과 ⟨세라피온 형제⟩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-
-
권기배;
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;
(슬라브硏究,
v.38,
2022,
pp.265-290)
-
39
-
독일문학과 러시아문학 속 2차 세계대전에서 나타나는 이데올로기 대립 – 인종 이데올로기와 독트린 주입을 중심으로 -
-
김동조;
부산대학교;
(외국학연구,
v.0,
2022,
pp.381-400)
-
40.
- 韓國 近代劇에 미친 러시아文學과 演劇의 影響에 관한 硏究 : 19C 러시아 文學과 演劇의 受容을 中心으로
- 안숙현
-
檀國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v, 199p., 199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