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합스부르크제국 말기의 민족갈등과 민족국가 형성
-
라영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동유럽발칸연구,
v.21,
2009,
pp.13-31)
-
32
-
크라우스의 ⟨제 3 발푸르기스 밤⟩: 파우스트 인용과 풍자
-
라영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06,
pp.193-206)
-
33
-
독백의 서술구조
-
라영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독어교육,
v.37,
2006,
pp.287-309)
-
34
-
정전과 문학교육
-
라영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독어교육,
v.26,
2003,
pp.6-150)
-
35
-
문학사의 조건: 문학 개념과 문학의 역사성
-
라영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20,
pp.111-128)
-
36
-
문학 교육과 문학사: 독일 중등학교와 우리 대학의 독문학사 교육을 중심으로
-
라영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22,
pp.51-68)
-
37
-
문학 장르의 체계와 역사성
-
라영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17,
pp.195-212)
-
38
-
문학사 회의론과 옹호론
-
라영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18,
pp.55-72)
-
39
-
미적 범주로서의 추
-
라영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09,
pp.305-325)
-
40
-
문학사와 문학비평에 나타난 오스트리아 문학
-
라영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43,
2002,
pp.228-24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