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만주어 구어 원망법 어미 변화의 한 양상 —시버어 구어와 대조적 관점에서—
-
도정업;
서울대학교;
(알타이학보,
v.0,
2020,
pp.35-53)
-
32
-
만주어 첨사 nikai와 의외성의 관계
-
도정업;
서울대학교;
(알타이학보,
v.0,
2019,
pp.27-47)
-
33
-
종결형으로 쓰인 만주어 분사 어미 –rA의 기능
-
도정업;
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언어학,
v.0,
2022,
pp.3-30)
-
34
-
만주어 복합 시제 형태 분석 - 만주 - 퉁구스 언어의 복합 시제 형태와 관련하여
-
도정업;
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동양학,
v.0,
2021,
pp.85-112)
-
35
-
언어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만주어 첨사 dere의 추론 증거성 표지로서의 특성
-
도정업;
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인문논총,
v.78,
2021,
pp.187-220)
-
36
-
만주어 oci의 문법화
-
도정업;
서울대학교;
(언어,
v.49,
2024,
pp.555-575)
-
37
-
만주어의 시상 체계— 언어 유형론적 관점을 바탕으로 —
-
도정업;
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언어학,
v.0,
2024,
pp.91-120)
-
38
-
만주어 내포문에 나타나는 seme의 문법적 지위
-
도정업;
정한별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(동양학,
v.0,
2017,
pp.13-31)
-
39
-
계량적 방법을 통한 만주어 동사 어간과 어미의 결합 분포 연구 『삼역총해』(三譯總解)에 나타난 부동사 어미 ‘–me, -fi, -ci’를 중심으로
-
도정업;
정성훈;
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목포대학교;
(인문논총,
v.79,
2022,
pp.221-259)
-
40
-
⟨⟨御製詩經⟩⟩과 ⟨⟨御製翻譯詩經⟩⟩의 한자 반복 구성에 대한 만주어 번역 양상 비교 연구
-
도정업;
정성훈;
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목포대학교;
(언어학,
v.0,
2023,
pp.3-3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