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『大觀茶論』 ‘序’에 나타난 徽宗의 茶文化觀
-
김효정;
성균관대학교;
(차문화산업학,
v.65,
2024,
pp.85-108)
-
32.
- 「山上宗二記」에 나타난 다인관
- 박민정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, 89 p., 2006
-
33.
- 사주의 직업구조와 TWO-JOB 사례 분석
- 조해성
-
국제문화대학원 대학교, 국내석사,
77 p., 2009
-
34.
- 『續茶經』「茶之事」분석 연구 : 차문화사 고찰을 중심으로
- 김현미
-
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, 국내석사,
v, 125 p., 2011
-
35.
- 건강주거 계획요소의 규명을 위한 연구
- 김소연
-
漢城大學校 不動産大學院, 국내석사,
v, 72 p., 2010
-
36
-
淸 中期 ‘소설책’ 형태의 변화 ― 책의 크기와 파라텍스트(paratext)를 중심으로
-
최수경;
숙명여자대학교;
(중국어문논총,
v.0,
2012,
pp.265-297)
-
37
-
송대 차문화 雅俗兼備적 심미 연구
-
김숙희;
성균관대학교;
(차문화산업학,
v.67,
2025,
pp.27-53)
-
38.
- L'evolution tectonique post-jurassique de la Core>e : apport des reconstitutions de paleocontraintes dans les Bassins cretaces meridionaux
- 황재하
-
Universite Paris 6, 국외박사,
311 p., 1992
-
39
-
주권(朱權) 『다보(茶譜)』 은일차문화 특징 연구 -독철(獨啜) 사유 중심으로-
-
정명희;
성균관대학교;
(차문화산업학,
v.67,
2025,
pp.141-164)
-
40
-
어원으로 살펴본 동아시아 3국의 茶道(다도) 용어 - 한국ㆍ중국ㆍ일본의 茶道(다도) 용어의 비교와 고찰
-
최진갑;
;
(日本文化硏究 = Japanese cultural studies,
v.38,
2011,
pp.567-58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