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현대 상담이론 및 심리치료적 접근의 철학적 배경
-
노성숙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(철학연구,
v.0,
2012,
pp.209-244)
-
32
-
아도르노의 모더니티 비판과 타자로서의 여성성
-
노성숙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(인간연구,
v.0,
2007,
pp.146-170)
-
33
-
삶을 사랑하고 죽음을 준비하는심리치료소설과 인문상담의 새 지평
-
노성숙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(인간연구,
v.0,
2016,
pp.145-156)
-
34
-
포스트모더니티와 여성주의에서 본 젠더와 정체성
-
노성숙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(인간연구,
v.0,
2005,
pp.5-39)
-
35
-
사이렌들과 오딧세우스 ―비동일적 자아의 탐색―
-
노성숙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(철학,
v.0,
2003,
pp.289-314)
-
36
-
삶의 진리를 성찰하는 해석학으로서의 철학상담: 고통받는 한국 청소년을 중심으로
-
노성숙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(신학전망,
v.0,
2014,
pp.88-126)
-
37
-
5・18 트라우마와 치유: 개인과사회공동체의 변증법에 대한 비판적 성찰
-
노성숙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(신학전망,
v.0,
2016,
pp.207-254)
-
38
-
전인적 성숙을 위한 시민교육―아도르노, 김수환 추기경, 프란치스코 교황의 교육관을 중심으로―
-
노성숙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(인간연구,
v.0,
2020,
pp.61-106)
-
39
-
여성주체가 겪는 고통과 치유: 철학상담의 입장에서 본 엘렌 베스트와 시몬 베유의 사례를 중심으로
-
노성숙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(한국여성철학,
v.29,
2018,
pp.87-132)
-
40
-
아도르노의 비판이론과 아헨바흐의 철학실천: ‘무력화되고 고립된 개인’의 삶을 치유하기 위한 비판적 사유
-
노성숙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(사회와 철학,
v.0,
2023,
pp.99-14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