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12건 중 212건 출력
, 4/22 페이지
-
31
-
문화기술과 인문학
-
한동숭;
전주대학교;
(인문콘텐츠,
v.0,
2012,
pp.195-208)
-
32
-
인문학자의 사회적 실천 - 연구와 제도, 대중교육의 선순환을 위한 모색 -
-
이경란;
연세대학교;
(사회와 철학,
v.0,
2011,
pp.207-240)
-
33.
- 공동체회복을 위한 골목문화콘텐츠의 활성화 연구 : 서울시 공동체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
- 허준영
-
건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69 p., 2016
-
34
-
한국 근대 잡지의 계량적 연구 방법에 대한 논의: 코퍼스 구축 및 데이터 분석의 사례를 중심으로
-
전성규;
성균관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23,
pp.159-210)
-
35
-
동물권에 관한 쟁점과 인문학 기반 관계성 연구의 심화 가능성 고찰
-
민웅기;
목원대학교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24,
pp.77-108)
-
36
-
지역문화생산자 육성을 위한 시민교육 내용 연구
-
채영희;
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;
(인문사회과학연구 :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,
v.19,
2018,
pp.183-207)
-
37
-
기술변혁과 노동소외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노동소외의 문제에 대한 인문학적 제언
-
오장근;
목포대학교;
(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,
v.8,
2019,
pp.153-171)
-
38
-
주제어 토픽모델링을 통한 IT 인문학 개념의 정립
-
최영미;
박남제;
제주대학교 창의교육거점센터;
제주대학교 교육대학 초등컴퓨터교육전공;
(정보교육학회논문지 =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,
v.26,
2022,
pp.467-480)
-
39
-
민담 구성요소 간 관계의 네트워크 시각화 방안 시론 – ⟨여우누이⟩를 대상으로
-
김준희;
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24,
pp.345-386)
-
40
-
마을에서 짜는 배움의 틀과 마을인문학
-
이경란;
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HK사업단;
(사회와 철학,
v.0,
2013,
pp.57-8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