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2건 중 92건 출력
, 4/10 페이지
-
31
-
18세기의 '갈랑'(galant). 시대양식, 혹은 과도기적 양식의 부분적 현상?
-
나주리;
한양대학교;
(서양음악학,
v.13,
2010,
pp.39-66)
-
32
-
바흐의 <브란덴부르크 협주곡>, 그 회고와 혁신 - 제5번 협주곡(BWV 1050)을 중심으로 -
-
나주리;
;
(음악논단,
v.23,
2009,
pp.21-45)
-
33
-
북독일의‘전고전주의’: 프리드리히 2세의 궁정 음악과 칼 필립 엠마누엘 바흐의 클라비어 음악
-
나주리;
한양대학교;
(서양음악학,
v.12,
2009,
pp.125-146)
-
34
-
힌데미트의 피아노푸가
-
나주리;
한양대학교;
(서양음악학,
v.8,
2005,
pp.185-212)
-
35
-
바흐의 모테트와 푸가 - <새 노래로 주를 찬양하라> BWV 225를 중심으로 -
-
나주리;
;
(음악논단,
v.24,
2010,
pp.1-31)
-
36
-
18세기 ‘만하임 악파’의 교향곡 -요한 슈타미츠의 교향곡을 중심으로-
-
나주리;
;
(음악논단,
v.27,
2012,
pp.27-52)
-
37
-
부조니의 푸가
-
나주리;
한양대학교;
(서양음악학,
v.0,
2004,
pp.197-225)
-
38
-
빈 고전주의 시대의 시민계급 여성 음악가: 마리아 안나 모차르트와 나네테 슈트라이혀의 경우
-
나주리;
동덕여자대학교;
(서양음악학,
v.26,
2023,
pp.75-104)
-
39
-
근대의 여성 음악가, 안나 막달레나 바흐
-
전하림;
나주리;
동덕여자대학교 음악학;
동덕여자대학교;
(서양음악학,
v.25,
2022,
pp.11-35)
-
40
-
만하임 악파 교향곡에 수용된 클라리넷 : 그 배경과 첫 결실에 대하여
-
윤현주;
나주리;
Dulwich College Seoul;
동덕여자대학교;
(서양음악학,
v.24,
2021,
pp.11-3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