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Comparison of Three Resilience Scales and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
-
김수안,;
Min,Kyung-Hwan,;
;
(韓國心理學會誌. 社會 및 性格,
v.25,
2011,
pp.223-243)
-
32
-
근대 소설의 형성 과정과 언문일치의 문제 (1) : 이광수 초기 단편 소설을 중심으로
-
김수안;
연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14,
pp.167-191)
-
33
-
근대 소설의 형성 과정과 언문일치의 문제(2)-이광수 연재 장편소설 「무정」을 중심으로-
-
김수안;
연세대학교;
(사이間SAI,
v.0,
2020,
pp.221-262)
-
34
-
식민 초기 국어(コクゴ) 교육이 드러내는 ‘(모)국어’ 관념의 문제 : 『普通學校國語讀本』(1912-1915)을 중심으로
-
김수안;
연세대학교;
(동악어문학,
v.0,
2022,
pp.89-119)
-
35
-
자살의 자격, 소설 쓰기 방법으로서의 종생: 아쿠타가와의 「어느 옛 벗에게 보내는 수기(或舊友へ送 る手記)」를 통한 이상의 「종생기」 재독
-
김수안;
연세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22,
pp.5-36)
-
36
-
음모론의 안과 밖, 장기 미제 사건을 이야기하다 - SBS ⟨당신이 혹하는 사이⟩를 중심으로
-
김수안;
연세대학교;
(대중서사연구,
v.29,
2023,
pp.73-108)
-
37
-
근대 계몽기 신문 잡보에 나타난 일본 및 일본인 표상
-
김수안;
연세대학교;
(개념과 소통,
v.0,
2024,
pp.427-435)
-
38
-
자신의 감정에 압도된 사람들의성격, 정서특성 및 주관적 안녕감
-
김수안;
민경환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(한국심리학회지: 사회및성격,
v.20,
2006,
pp.45-66)
-
39
-
결손된 자기의 회복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
-
김수안;
김명찬;
인제대학교;
인제대학교;
(한국가족복지학,
v.21,
2016,
pp.769-802)
-
40
-
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자문화기술지 연구 수행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
-
김수안;
김명찬;
동명대학교;
인제대학교;
(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,
v.35,
2023,
pp.1285-132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