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,057건 중 1,000건 출력
, 4/100 페이지
-
31
-
한국 장애인 문학의 새로운 지평 - 김미선의 소설을 중심으로 -
-
김세령;
호서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15,
pp.217-255)
-
32
-
주어진 ‘평등’, 만들어가는 ‘차이’ ― 김미란, 『현대 중국 여성의 삶을 찾아서』(소명출판, 2009)
-
김순진;
한신대학교;
(중국현대문학,
v.0,
2009,
pp.295-302)
-
33
-
2010년대 이후 장애 여성 소설에 나타난 자기 돌봄의 정치성 – 김미선, 공선옥, 김초엽을 중심으로
-
박찬효;
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24,
pp.10-35)
-
34
-
지하방에서 부르는 청춘의 노래 김미월, 『여덟 번째 방』(민음사, 2010)
-
우효경;
서울대학교;
(페미니즘연구,
v.10,
2010,
pp.175-183)
-
35
-
김미혜 동시 연구, 호명된 생명의 의미 -‘지속’ 개념을 중심으로-
-
유정미;
충남대학교;
(한국아동문학연구,
v.43,
2022,
pp.115-134)
-
36
-
2010년대 이후 장애 여성 소설에 나타난 자기 돌봄의 정치성 – 김미선, 공선옥, 김초엽을 중심으로
-
박찬효;
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24,
pp.10-35)
-
37
-
문학의 민주주의는 어떻게 가능한가? (김미정, 『움직이는 별자리들』, 갈무리, 2019)
-
강동호;
인하대학교;
(인문과학연구논총,
v.40,
2019,
pp.231-237)
-
38
-
움직이는 취향, 문학적인 시간 - 김미정, 움직이는 별자리들, 갈무리, 2019; 오혜진, 지극히 문학적인 취향, 오월의봄, 2019
-
인, 아영;
;
(여성문학연구 =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,
v.47,
2019,
pp.487-495)
-
39
-
개념을 적용하는 대상과 범위에 관한 논의: 김미옥의 반론에 덧붙여
-
이내선;
경북대학교;
(서양음악학,
v.8,
2005,
pp.101-126)
-
40
-
[교육 교수 탐구] 글감선택에서의 다각도사유에 대하여
-
김미란;
;
(중국조선어문 = Korean Language in China,
v.123,
2003,
pp.57-5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