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2건 중 92건 출력
, 4/10 페이지
-
31
-
국가와 사회의 권력관계의 양면성: 국가 자율성과 국가 역량의 재검토
-
김동노;
연세대학교;
(사회와역사(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),
v.0,
2012,
pp.261-292)
-
32
-
거시 구조 이론에서 미시 사건사로 - 미국 역사사회학의 경향과 과제
-
김동노;
연세대학교;
(사회와역사(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),
v.0,
2003,
pp.4-122)
-
33
-
일본 제국주의의 조선 지배의 독특성
-
김동노;
연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06,
pp.199-242)
-
34
-
반농반노: 일제시대 농민운동의 근대적 전환과 노동운동의 형성
-
김동노;
연세대학교;
(현상과 인식,
v.31,
2007,
pp.11-30)
-
35
-
한국사회의 근대적 전환과 ‘사회과학’ 도입의 조건
-
김동노;
연세대학교;
(이화사학연구,
v.0,
2012,
pp.33-61)
-
36
-
대한제국기 황성신문에 나타난 근대적 개혁관
-
김동노;
연세대학교;
(사회와역사(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),
v.0,
2006,
pp.119-153)
-
37
-
거시이론에서 사건사로, 그리고 다시 거시이론으로? —역사사회학의 연구 경향과 새로운 길의 탐색
-
김동노;
연세대학교;
(사회와역사(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),
v.0,
2013,
pp.73-102)
-
38
-
개인주의, 공동체주의, 그리고 한국사회의 공공성
-
김동노;
연세대학교;
(사회이론,
v.0,
2014,
pp.77-108)
-
39
-
박정희 시대 전통의 재창조와 통치체제의 확립
-
김동노;
연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10,
pp.319-353)
-
40
-
한말의 국가개혁운동과 자원동원
-
김동노;
연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04,
pp.503-54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