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,740건 중 1,000건 출력
, 4/100 페이지
-
31
-
전근대 서구 지식인의 시험제도에 대한 인식
-
Kim, Gyung-Yong;
;
(敎育史學硏究,
v.13,
2003,
pp.73-94)
-
32.
- 실학담론에 대한 지식사회학적 고찰 : 근대성 개념을 중심으로
- 이태훈
-
全南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viii, 250p., 2004
-
33
-
근대계몽기 지식, 여성, 글쓰기의 관계
-
홍인숙;
;
(여성문학연구,
v.24,
2010,
pp.57-86)
-
34
-
근대 일본의 학제 형성과 역사 지식의 제도화
-
이규수;
가천대학교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13,
pp.395-431)
-
35
-
일본 근대 지식인들의 근대상 - 근대소설 속의 일본, 아시아, 유럽 / 아리시마다케오(有島武郞)의 경우 -
-
신인섭;
;
(日本語文學= Korean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12,
2002,
pp.303-325)
-
36
-
韓國 近代 知識人의 上海 體驗
-
조성환;
상명대학교;
(중국학,
v.0,
2007,
pp.157-193)
-
37
-
근대화 이론과 미국의 지식인들 - 근대화 이론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위하여
-
김우민;
;
(西洋史學硏究= Journal of western history,
v.16,
2007,
pp.161-191)
-
38
-
조선의 식민지 지식인 나혜석의 근대성을 질문한다
-
김은실;
;
(한국여성학= Journal of Korean women's studies,
v.24,
2008,
pp.147-186)
-
39
-
[광장]연대와 배제-동아시아 근대 민족주의와 지식인-
-
윤해동;
;
(역사문제연구,
v.2003,
2003,
pp.179-201)
-
40
-
개화기 지식계급 논설의 발달과 근대비평의 형식
-
전기철;
;
(語文 硏究 : 한국어문교육연구회,
v.26,
1998,
pp.186-20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