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96건 중 296건 출력
, 4/30 페이지
-
31.
- 비파의 발전사에 나타난 중(국)•한(국) 및 동서양 음악문화의 융합과 발전
- 왕징이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82, 2024
-
32
-
의복 관련 차르의 칙령 우카스(Указ)로 본 러시아 정체성 연구: 17세기 말에서 19세기 초까지
-
김상현;
성균관대학교;
(노어노문학,
v.33,
2021,
pp.119-168)
-
33.
- 플라톤의 宇宙 生成論의 입장에서 본 궁정 발레의 幾何學的 패턴의 의미
- 박윤정
-
한성대학교, 국내석사,
ii, 72장, 2001
-
34.
- 中國 茶畵에 나타난 文人 茶道美學 硏究
- 김은정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280, 2022
-
35.
- 고대 이집트의 음악문화 연구
- 최개기
-
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00, 2025
-
36.
- 우희(優戱)의 역사와 연행 양상
- 이보람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x, 166 p., 2019
-
37
-
18세기 남부 독일의 궁정음악과 후원 I - 슈투트가르트, 만하임 그리고 뮌헨의 궁정음악 -
-
이성률;
한국예술종합학교;
(서양음악학,
v.14,
2011,
pp.35-61)
-
38.
- 唐五代詞文化內涵硏究 : A Study of Tang and Five Dynasties Ci Involving the Culture
- 이옥하
-
南京大學, 국외박사,
227p., 2005
-
39
-
샤프츠베리 백작과 18세기 영국 담소화의 등장
-
전동호;
이화여자대학교;
(미술사와 시각문화,
v.0,
2014,
pp.82-107)
-
40
-
카트린느 데 메디시의 궁정발레와 정치적 기능
-
박경숙;
광주여자대학교;
(대한무용학회 논문집,
v.63,
2010,
pp.47-6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