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상상과 실재 사이: 헤테로토피아로서 베를린 -발터 벤야민의 「1900년경 베를린의 유년시절」에 나타난 도시 공간을 중심으로
-
구연정;
서울대학교;
(카프카 연구,
v.0,
2013,
pp.123-142)
-
32
-
통합유럽의 정체성과 이주민 - 게오르크 짐멜과 에티엔 발리바르의 이방인론을 중심으로
-
구연정;
서울대학교;
(독일어문화권연구,
v.0,
2016,
pp.7-33)
-
33
-
독일 통일 후 베를린 도심 장벽 터의 재생과 빈공간의 의미에 대하여
-
구연정;
중앙대학교;
(유럽연구,
v.33,
2015,
pp.1-26)
-
34
-
포스트메모리의 형식에 대한 소고 - W. G. 제발트와 마르쿠스 주작의 문학에 나타나는 ‘세대전이적 트라우마화’와 기억형식을 중심으로
-
구연정;
서울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57,
2016,
pp.99-115)
-
35
-
‘독일 중심의 유럽’과 위기의 유럽
-
구연정;
중앙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56,
2015,
pp.107-127)
-
36
-
잠의 요정, 샌드맨의 변형: 꿈의 수호신에서 악몽의 괴물로 - H. C. 안데르센의 「잠의 요정 올레 루코이에」와 E.T.A. 호프만의 「모래사나이」를 중심으로
-
구연정;
숭실대학교;
(동화와 번역,
v.0,
2024,
pp.15-44)
-
37
-
서구의 기술담론을 재맥락화하는 한국SF의 문학적 실험 : 김초엽의 『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』을 중심으로
-
구연정;
숭실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부교수;
(스토리앤이미지텔링,
v.0,
2024,
pp.13-37)
-
38
-
자동화 기술에 대한 문학적 성찰 - 괴테의 「마법사의 제자」를 통해 본 N. 위너의 ‘사이버네틱스’와 인공지능의 미래
-
구연정;
숭실대학교;
(독일현대문학,
v.0,
2024,
pp.35-58)
-
39
-
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문학적 서사의 확장과 매체융합적 글쓰기의 가능성 - 카프카의 ‘오드라데크’의 웹서사화
-
구연정;
숭실대학교;
(카프카 연구,
v.0,
2020,
pp.185-202)
-
40
-
‘데이터화된 신체’에 대한 인간학적 이해의 한계와 가능성 - 율리 체의 『범죄의 증거. 어떤 소송』을 예로
-
구연정;
숭실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63,
2022,
pp.71-9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