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3건 중 93건 출력
, 4/10 페이지
-
31
-
조선후기 지식인들의 『天地萬物造化論』에 대한 인식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12,
pp.215-265)
-
32
-
好古窩 柳徽文(1773∼1832)의 璿璣玉衡論-『滄浪答問』을 중심으로-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11,
pp.173-212)
-
33
-
崔攸之(1603∼1673)의 竹圓子-17세기 중반 朝鮮의 水激式 渾天儀-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25,
2005,
pp.175-212)
-
34
-
18세기 正統朱子學者의 현실인식과 학문적 대응 -四養齋 姜浩溥(1690~1778)의 저술을 중심으로-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08,
pp.477-533)
-
35
-
朝鮮後期 日月蝕論의 變化
-
구만옥;
연세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19,
2002,
pp.27-69)
-
36
-
조선전기 朱子學的 自然觀의 형성과 전개 -‘理法天觀’의 自然學的 의미를 중심으로-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04,
pp.95-132)
-
37
-
이문재(李文載)의 자연학(自然學)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14,
pp.255-305)
-
38
-
『晝永編』을 통해 본 鄭東愈(1744∼1808)의 自然認識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진단학보,
v.0,
2010,
pp.413-447)
-
39
-
마테오 리치(利瑪竇) 이후 서양 수학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반응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한국실학연구,
v.0,
2010,
pp.301-355)
-
40
-
다산 정약용의 천문역법론天文曆法論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다산학,
v.0,
2007,
pp.55-10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