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공선옥 소설에 나타난 생태학적 상상력 고찰
-
김미영;
한양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05,
pp.95-120)
-
32.
- 감정 반응을 활용한 소설 교수·학습 방법 연구 : 공선옥의 「일가」를 대상으로
- 김지현
-
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, 87 p., 2020
-
33
-
수상작 : 김려령 장편소설 『완득이』
-
원종찬;
공선옥;
김연수;
박숙경;
;
(창비어린이,
v.5,
2007,
pp.310-315)
-
34
-
가난한 사람들의 유랑과 가족의 해체 - 공선옥의 『유랑가족』을 중심으로
-
서혜지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2009,
2009,
pp.195-211)
-
35
-
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장소 정체성 상실 - 공선옥의 「가리봉 연가」를 중심으로
-
Bae, Ok-ju;
;
(젠더와 문화 = Gender and Culture,
v.6,
2013,
pp.149-175)
-
36
-
민주화운동에서 여성 주체의 문제 -홍희담과 공선옥의 5․18 소설을 중심으로-
-
심영의;
전남대학교;
(인문사회과학연구,
v.13,
2012,
pp.159-182)
-
37
-
Study of Reification of Migrant women’s body - focused on「Garibong Amatory poem」 by Sun-ok, Gong
-
배옥주;
;
(한어문교육 =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2013,
2013,
pp.313-340)
-
38
-
공선옥론 : 자매애적 유대를 통한 사랑의 실현
-
이덕화;
평택대학교;
(여성문학연구,
v.0,
1999,
pp.257-283)
-
39
-
공선옥의 청소년 소설에서 발견되는 교육적 가치
-
박기범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청람어문교육,
v.0,
2012,
pp.595-623)
-
40
-
제2회 창비청소년문학상 발표
-
공선옥;
권여선;
원종찬;
조은숙;
구병모;
;
(창비어린이,
v.6,
2008,
pp.314-31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