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미래세대와의 대화 : 기후위기, 인류세, 생태환경사, 그리고 미래로의 상상
-
고태우;
서울대학교;
(생태환경과 역사,
v.0,
2022,
pp.203-228)
-
32
-
1970년대 한국의 공해(公害) 상황과 재난 인식
-
고태우;
서울대학교;
(개념과 소통,
v.0,
2021,
pp.7-52)
-
33
-
기후, 날씨와도 싸워야 했던 일본제국주의, 그리고 식민지민 - 길었던 한 해, 1939년 조선 대가뭄의 양상과 그 여파 -
-
고태우;
서울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20,
pp.137-184)
-
34
-
어디까지 개발해야 할까? - 시화호 30년, 오염과 개선의 이중주
-
고태우;
서울대학교;
(인문논총,
v.82,
2025,
pp.81-124)
-
35
-
한국 근대 생태환경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
-
고태우;
서울대학교;
(생태환경과 역사,
v.0,
2016,
pp.31-70)
-
36
-
마이카로 향하는 여정: 한국인 자동차 소유 욕망의 전개와 한계
-
고태우;
서울대학교;
(역사와 실학,
v.0,
2024,
pp.139-179)
-
37
-
인류세 논의의 전선과 생태환경사 - 클라이브 해밀턴 지음, 정서진 옮김, 2018, 『인류세』, 이상북스 -
-
고태우;
서울대학교;
(생태환경과 역사,
v.0,
2019,
pp.211-226)
-
38
-
식민지기 ‘북선개발(北鮮開發)’ 인식과 정책의 추이
-
고태우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20,
pp.167-196)
-
39
-
총론 : 기후위기 시대의 생태환경사 - 한국 기후사의 모색 -
-
고태우;
서울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20,
pp.35-54)
-
40
-
1930년대 중후반 강원도 개발계획과 삼척지역의 식민지 공업화
-
고태우;
서울대학교;
(역사문화연구,
v.0,
2023,
pp.41-7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