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5건 중 105건 출력
, 4/11 페이지
-
31
-
고석규 시의 고향상실의식 연구
-
정원숙;
강원대학교;
(한국문예창작,
v.14,
2015,
pp.9-34)
-
32
-
전후의 비평 방법론에 대한 반성과 모색 ‑ 고석규를 중심으로
-
최호빈;
고려대학교;
(한성어문학,
v.43,
2020,
pp.1-32)
-
33
-
고석규의 에세이적 글쓰기와 ‘바깥’의 사유
-
김예리;
;
(한국근대문학연구,
v.0,
2012,
pp.357-386)
-
34
-
고석규 비평의 문체론 연구 - 1950년대 문체론의 맥락에서 -
-
박현익;
오산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24,
pp.263-286)
-
35
-
조선 후기 장시 변동의 양상
-
고석규;
;
(韓國文化,
v.21,
1998,
pp.207-241)
-
36
-
18세기말 19세기초 평안도지역 향권의 추이
-
고석규;
;
(韓國文化,
v.11,
1990,
pp.341-406)
-
37
-
設郡 논의를 통해 본 조선후기 섬의 변화
-
고석규;
;
(島嶼文化,
v.15,
1997,
pp.337-354)
-
38
-
1950년대 고석규 비평의 근대성 연구
-
하상일;
부산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04,
pp.253-282)
-
39
-
1862년 농민항쟁 연구의 논쟁점 -망원한국사연구실 19세기농민항쟁분과 지음, <1862년 농민항쟁> 1988. 6, 동녁, 434쪽.
-
고석규;
;
(역사와 현실,
v.1,
1989,
pp.261-271)
-
40
-
1950년대 시론에서 ‘서정’ 개념의 논의와 ‘새로운 서정’의 가능성 - 고석규의 부정성의 시학을 중심으로
-
박슬기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28,
2009,
pp.335-36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