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921건 중 1,000건 출력
, 4/100 페이지
-
31
-
개항 이후 상하이 현성 공간의 근대적 변화 연구
-
이서경;
김준;
유재우;
부산대학교 대학원;
동명대학교;
부산대학교 건축학과;
(대한건축학회논문집 =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,
v.36,
2020,
pp.193-204)
-
32
-
개항(開港) 이후(以後) 대구지역(大邱地域) 근대주거건축(近代住居建築)에 관한 연구(硏究)
-
윤재웅;
효성여자대학교 가정관리학과;
(건축역사연구 :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=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,
v.1,
1992,
pp.85-100)
-
33
-
개항장 원산과 일본 상인의 이주
-
이가연;
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HK연구교수.;
(동북아 문화연구,
v.1,
2020,
pp.139-157)
-
34.
- 근대 인천 창고업의 전개와 특징 : 개항~1920년대 초를 중심으로
- 송은주
-
서울市立大學校, 국내석사,
ii, 85장, 2019
-
35.
- 근대기 마산의 도시변화과정 연구 : 개항(1899년)부터 해방(1945년)까지
- 허정도
-
울산대학교, 국내박사,
xiii,388 p, 2002
-
36
-
開港 初期 木浦港의 日本人과 海上네트워크
-
최성환;
목포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2,
pp.45-82)
-
37.
- 인천 개항장 역사문화 탐방 네트워크 센터 계획
- 김준기
-
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94, 2025
-
38
-
광주(廣州)의 개항 기억 - 내셔널리티와 로컬리티의 사이에서
-
이은자,;
;
(아시아문화연구,
v.29,
2013,
pp.301-326)
-
39.
- 開港 初期(1861-1869) 天津의 貿易經濟 硏究
- 김경
-
경희대학교 일반대학교, 국내석사,
v, 94 p., 2014
-
40.
- 개항 후 조선의 對淸認識의 변화
- 박경진
-
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71장, 2011